
'외국에서들어온 과일'에 해당되는 글 1건
- 2021.03.24
과일은 맛도 좋고 건강 및 영향에도 좋아..
우리 식탁에서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음식중 하나이다..
매계절따라 우리는 그 계절에 맞는 다양한 과일을 먹게 되고..
예전에는 지역 이동때문에 지역마다 한정된 과일만 먹군 했는데
요즘은 교통이 편리하니.. 귀한 열대과일도 어렵지 않게 먹을수 있다..
또한 그 계절이 아니라도.. 제철이 아니여도 먹을수 있다
그럼 우리가 가장 흔히 먹는 과일중.. 어느 과일들이 중국 본토 과일일가..
어느 과일들이 외국에서 들어온걸가?
1. 외국에서 가장 일찍이 들어온 과일은--포도..
중국 고대 역사책에서 가장 일찍이 포도에 관련된 기록을 볼수 있었고
<시경(诗经)>에는 <6월에 식욕이 떨어지면 오(薁)를 먹으면 된다..>
여기서 오(薁)는 중국내에서 토종 야생포도로 맛은 별로 좋지 않고 달지도 않다..
진짜로 맛도 좋고 단맛이 풍부한 포도는
카프카스산맥이 원산지이고 서아시아, 중아시아 일대에 위치하였다..
춘추전국시기(대략 2800여년전) 유럽의 포도는
이미 서역으로 들어왔지만 흉노가 중간에서 저애하여
줄곧 서한(西汉)왕국으로 들어오지 못하였다..
기원전139년 장건(张骞)이 처음으로 서역으로 들어갔을때
중간에서 흉노한테 10여년간 강금되었고
후에 기회를 찾아 도망나왔으며 대원(大宛)으로 도망갔다..
그는 대원(大宛)의 민속풍정, 농수산물, 과일 등에 흥취가 있었고
그중 유독 색갈이 유활하고 아름답고 먹으면 감미롭고 단맛이 나는
포도에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후에 서한(西汉)왕조의 국력이 강성해져 흉노를 이긴후
대원(大宛)왕국은 한나라(汉朝)왕조에 공물을 갖다 바쳤으며
그중에 포도 및 클로버(苜蓿) 종자를 갖고 왔다..
그래서 중국내 이때부터 ..포도가 생겼다..
공물을 본 한무제(汉武帝)는 엄청 기뻐하였다..
그는 일찍이 장건(张骞)한테서 포도가 엄청 맛있다는걸 들었기때문에
사람들 시켜 민간에 큰 범위로 나눠줘서 포도를 많이 심게 하였다..
포도는 이미 들어왓으나 와인의 제작은 좀 늦어서 생겼다..
서역의 많은 국가에서 모두 와인을 만드는 전통 비법이 있는데
그들은 이걸 기밀로 생각하기때문에 외부에 전수 안한다고 한다..
당나라 왕조 당고종(唐高宗)시기에 와서 고창(高昌)이라고 하는
서역국가에서 당나라로 오면서 와인을 만드는 비법을 전수 받았고
와인을 만드는 비법이 금방 중원에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전해져 내려왔다고 한다..
고서<책부원귀(册府元龟)>의 기재에 따르면
당나라왕조는 고창(高昌)이란 나라를 멸한후
마유(马乳)포도를 정원에 수집에 놓았고 또한 와인을 만드는 비법을 얻었으며
당태종(唐太宗)은 이 비법자료를 수정한후 향기롭고
맛있는 와인을 만들었고 대신들 불러서 맛보라고 하였다
이때부터 중원에는 순수한 와인을 만들게 되었고
전에는 귀한 황실먹거리인 --와인..
이제는 길거리 차집에서도 맛볼수 있게 되었다..
이로 하여 당나라 시인 왕한(王翰)의 <량주사(凉州词)>에
<포도주는 맛이 좋고, 야광잔은 마시려 하자
비파가 재촉한다(葡萄美酒夜光杯,欲饮琵琶马上催).>에 시구에 와인이 들어간다..
이것이 바로 포도가 중국에 들어와서 재배하고 가공했던 역사의 시작이였다..
2. 두번째로 외국에서 들어온 과일은--석류
석류의 원산지는 페르시아(현 이란) 일대이고..
석류에 관하여 이런 전설이 있었다..
기원전 119년 장건(张骞)이 두번째로 서역을 들어갔을때
안석국(安石国)에 도착하였고
그때 당시 안석국(安石国)은 엄청난 큰 가뭄재난을 맞고 있었으며
광활한 대지에는 곡식들이 모두 말라서 누렇게 되었으며
심지에 화원에 심어놓은 석류 나무 마저 거의 죽게 되었다..
장건은 한나라왕조의 수리시설을 만드는 기술
및 경험을 그들한테 알려주어 마른 곡식을 되살렸을뿐만 아니라
석류나무들도 다시 살아 났다..
결국에 다시 살아서 싱싱하게 된 석류나무는
꽃이 피고 열매 맺었으며 그 열맥 엄청 컸다..
장건(张骞)이 귀국할무렵 안석국(安石国)의 국왕은
그이한테 많은 금은보석등 보물을 선물로 주었지만 그는 거절하였고..
그냥 석류종자만 기념품으로 받아 갖고 왔다..
돌아와서 먼저 도성(都城)의 상림원(上林苑)에 열그루만 심었고
결국에는 3천폭 넘는 꽃속에서 석류의 꽃이 유달리 화려하여
한무제(汉武帝)의 사랑을 받았다..
후에 석류는 어떤 환경이라도 잘 자라고 산량도 높으므로
민간에서 많이 심게 되었고
석류는 속에 작은 알맹이가 가득하여 자식이 많아지고
복도 많아진다는 의미와 같아도 하여
민간이든 황실에서든 모두 석류를 엄청 좋아했다고 하고..
결혼날에도 석류를 선물로 주군 하였다고 한다..
그의 의미는 <애를 많이 낳으라>는 뜻이라고 한다..
석류는 중국 전통 복장에도 연관된다고 한다..
량원제(梁元帝)의 <우서곡(乌栖曲)>에서는
<부용(芙蓉)석류치마>, ,
석류치마는 고대 여성들 가장 좋아하는 치마였고
그당시에는 치마에 물들이는 빨간색 물감은 석류꽃에서 나오기때문에
그들은 이 빨간치마를 석류치마라고 하며
<석류치마(石榴裙)>의 내력이였다고 한다..
전설에 양귀비는 석류를 엄청 좋아했다고 하고
세상에 널리 알려진 려지(荔枝)를 좋아하지만
석류도 엄청 좋아했다고 하며
석류꽃을 가득 수놓은 오색 치마를 엄청 즐겨 입었다고 한다..
이런 치마를 입으니 유달리 아름다워 사람을 감동시켰다고 한다..
당천보(唐天宝)년간 당명황(唐明皇)이
자기의 흥취로 화청지 주변에 엄청 많은 석류나무를 심었고
매번 석류꽃이 필때면 이 풍류천자는
"붉고 달아오른" 석류꽃밭에서 술자리를 베풀고,
양귀비와 마음껏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3 세번째로 들어온 과일은--수박
우리가 흔히 먹는 수박도 멀리 아프리카에서 전해져왔다고 한다..
수박의 원산지는 아프리카이고 조롱과의 야생식물이였고
후에 인공재배로 식용수박으로 되었다..
일찍이 4천년전에 이집트 사람들도 수박을 심기 시작하였고
수박이 중국으로 들어왔을때는 당나라 시기였으며
그때는 신쟝쪽에서 광범위하게 재배 되었고
내륙으로 들어왔을때는 아마 오대(五代), 송료(宋辽)시기였다..
수박--중국말로는 서박(西瓜) 의 이름에 대해서는 두가지 내력이 있었다고 한다..
명나라 시기 과학가 서광계(徐光启)의 <농정전서(农政全书)>에 기재에 따르면
"수박--서박(西瓜) 서역에서 심었기때문에 서박(西瓜)이라고 하였다" 고 하는데
같은 조대에서 유명한 의학가인 이시진(李时珍)의 <본초강목>에는 이렇게 기재되었다..
<호교에서 회골에 따라 참외 씨를 얻었는데,
이를 수박이라 부른다.
수박은 5대 때부터 중국에 들어왔다.(按胡峤于回纥得瓜种,
名曰西瓜。则西瓜自五代时始入中国;今南北皆有)>.
이시진(李时珍)의 문장에 제기된 호교(胡峤)는 5대(胡峤)시기의 사람으로
그는 전에 후진(后晋)왕조시기의 현령(县令)이란 지방 관리자였고
거란에서 7년간 거주하였고
후에 기회가 생겨 엄청난 어려움을 겪고 중원으로 도망왔으며
중원에 온후 그는 자기가 거란에서 보고 들은걸
<함북기(陷北记)>란 책을 저작하였다..
책에서 그는 자기가 거란(료국辽国)에서 보고 들은걸 자세히 기록하였고
그중 한단락에 수박에 관련해서 적었다.
.문장에서: <징동에서 사십 리에 가면 진주채에 이르러 음식을 시식하였고
그담날 동쪽으로 지세가 점차적으로 높으며 서쪽을 바라봤을때
평지에 송림이 울창하게 수십리정도 깔렸으며
평천에 들어서니 초목이 많고 수박을 시식하였는데,
거란은 회올을 멸하여 이 종자를 얻었으며 소똥을 거름으로
큰 하우스에서 재배하였는데 엄청나가 커서
중국의 동과(冬瓜)같았지만 맛은 엄청 달았다>고 하였다..
하지만 호교(胡峤)은 거란에서 있으면서 수박을 먹었다고
수박이 오대십국(五代十国)시기에 중원에 전해졌다고는 할수 없다....
북송(北宋)왕조시기에 와서 송나라왕조의 맹원로(孟元老)의 저작인
<동경몽화록(东京梦华录)>에서 북송도성(北宋都城) 변경의
시대별 참외과를 기록하였으나,
수박에 관한 기록은 없다.북송의 관할 지역인 중원 지역에
아직 수박 재배가 이뤄지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남송시기에 이르러 금국(金国)이 개봉(开封)을 점령하면서
수박이 광범위하게 중원에 퍼졌고
남송시기의 시인 방휘(方回)의 <추숙(秋熟)>에서
<수박의 갈증을 해소하고,
푸른 요부를 잘라 내다.(西瓜足解渴,割裂青瑶扶)>라고 하였고..
이로서 남송시기에 여름철 수박으로 더위를 막고
갈증을 풀었다는게 흔한 일이였다는걸 알수 있었다..
남송시기 문천상(文天祥)은 기쁜마음으로
<수박송(西瓜吟)>썼으며 문장에서
<금패칼을 뽑아 창옥병을 깨뜨리고, 붉은 앵두를 약간 마르고,
한 덩이의 노란 수정을 삼키며, 불꽃놀이를 삼키니,
입치에서 눈소리가 났다.>고 하였다..
짧은 문장에서 수백에 대한 모양, 질의, 효능 등등을
생동하게 개괄하였다는걸 볼수 있었다..
최근 들어서서 수박이 언제 중국으로 들어왔는지를
고고학자들과 역사학자들 증명할만한 물증과 인증을 내놓았으며..
바로 수박은 한나라(汉)왕조시기 중국에 들어왔고
장사의 마왕무덤(马王堆), 강소성의 고유(高邮)와
양주에서 발굴된 서한 및
동한시기의 무덤에서 수박종자를 발견하므로 물증이 나왔고
인증으로는 한나라 왕조 시기 <건안칠자(建安七子)>중의 한사람이였던
유정(刘桢)의 <과부(瓜赋)>라는 저작에서 수박에 대해서
<남색 가죽은 도리에 맞고, 근육은 단맛이고,
단맛은 꿀집보다 낳으며, 시원함은 얼음과 같다.>라고 표현하였다..
하지만 어쨋든간에 전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수박의 재배는 남송시기 부터 였다고 한다..
4. 네번째 과일은--사과
사과가 중국에 들어온지 고작 200년밖에 안되었고
18세기후기에 중국에 들어왔다..
사과의 원산지는 유럽중부, 동남부, 서아시아,
서아시아지역이였다..
전해져 내려온 말에는 중국 고대에 찍이 사과가 있었고
고대는 사과를 <나--능금의 일종(柰)>라고 하였고..
전설에 하우(夏禹)가 먹었던 <자나(紫柰)>가 바로
중국 본토지역의 사과였다고 한다..
중국 고대 심은 사과들은 과육이 스펀지와 같이 푹신하고
과즙이 적으며 맛은 담담하고 품질이 많이 떨어졌다고 하며
옛날에는 <면사과>라고 불렀다고 한다..
진나라왕조(晋朝)시기 곽의공(郭义恭)의 저작 <광지(广志)>에서
사과 먹는방법을 <서방에서는 사과가 많으며
집집마다 썰어서 말리워 깡을 만들며 엄청나게 저장하여 식
량으로 사용되었다>고 하였다..
근데 왜서 꼭 썰어서 말리워야 할가요?
그때당시 신쟝에서 나오는 고대 사과들은 맛이 없기때문에
말리워서 끓여 익혀서 먹군하였고
그냥 생으로 먹으면 마치 스펀지를 먹는듯이
전혀 맛이 없기때문에 고대에 사과를 재배한 사람은 별로 없었다고 한다..
1871년 유럽의 사과묘가 미국의 목사 <루이위스>에 의하여
산동연태에 심게 되었으며 <광흥과원(广兴果园)>이였고
몇년후 <루이위스>부부가 갖고온 사과묘에서
현지 사과와 완전 다른 과실이 달렸다..
이 사과는 크고 껍데기가 얇으며 즙이 많고
사각사각하기도 하고 엄청 달고 맛있었다..
20세기초에 옌타이(煙臺)에 자주 나와 농수산물을 판매하던
푸산(福山)현 쇼루이커우(昭瑞口) 마을의
청년 농민 당전공(唐殿功)이 광흥과원을 지나
과수원에 있는 저 색다른 사과를 보았을 때,
양사과를 자기 과수원에 접목시키려는 생각이 들었다..
하루는 그가 과원을 지나면서 과수원주인이 보지않은 틈을 타서
사과나무에서 몇가지를 슬그머니 짤라내서
자기 마을에 돌아온후 집에 사과나무에 접목시켰고
3년 지난후 달달한 과실이 달렸다..
이것이 바 로유명해진 옌타이(煙臺)의
청바나나사과(青香蕉苹果)였다.
당전공(唐殿功)은 또 자기 과수원의 나뭇가지를 잘라내어
마을 사람들에게 접목시켜 재배하였다
이때부터 청바나나 사과가 쇼루이커우(绍瑞口村) 마을 일대에서
번성해 한때 옌타이 사과의 주력 품종이 되기도 했다.
중국 해방전까지 사과는 주로 산동성, 요녕성 일대에서 나왔고
1949년후 중국내 사과산량이 고작 10만톤밖에 안되었다..
몇년지난후 사과는 남방, 북방지역에 광범위하게 재배되어
사과산량이 점차적으로 많아젼ㅆ으며
2017년에 중국의 사과 산량은
전세계 사과 물량의 60%를 차지 한다고 한다..
오늘은 흔히 보는 과일들을 올려봤습니다.
중국 정주 96세 할머니 노점을 운영하면서 인기를 얻었지만 여기에는 개인 앵커들이 문제였다.. (0) | 2021.04.17 |
---|---|
빈랑-페낭(槟榔) 아시나요? 요즘 호남 장사 등 큰도시 슈퍼마켓에서도 쉽게 볼수 있다는데 절대 건드리시면 안됩니다. (0) | 2021.03.27 |
다른 행성에 온듯한,, 가장 고독한 도시--망야(茫崖) (0) | 2021.03.19 |
미국사람이 촬영한 1935년의 장엄한 서안및 성벽 (0) | 2021.03.18 |
중국여배우 쑨리(孙俪) 배우로서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분인데 왜 다른 배우들은 그와 작업하기를 꺼려할가? (0) | 2021.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