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분류 전체보기 (104)
중국스토리 (54)
자유게시판 (4)
백두산여행 (26)
다른지역여행 (18)
백두산맛집 (1)
다른지역맛집 (0)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ARCHIVE



  1. 2021.03.22
    중국 고대 4대 미녀는 익숙하지만.. 원빈처럼 잘 생긴 고대 4대 미남들은 없었을가요?

중국고대 4대미녀는 누구도 잘 알고 있는 사실..

필경 미인을 좋아하는 마음은 누구한테도 있는듯하고..

미녀가 어디로 가든 항상 눈에 띄기 마련이다.. 

오늘은 미녀 말고.. 중국 고대 4대 미남.. 누구누구 있을가?

 

4대미남중 한사람은--판안(潘安)

역사책에서 판안(潘安)의 용모에 대해

미자의(美 仪儀)는 사람의 외모와 기품,

기품 등이 뛰어나다고 한다.. <세설신어(世说新语)>의 기재따르면 :

"판안(潘安)은 자태가 아름답고 표정이 은은하여

보는 사람 빠져 들게 하고 어릴때는 락양(洛阳)거리에서 다니면

여자들과 마주칠때면 모두 손을 대며 매달렸다. "고 말했고 "

"안인지미(安仁至美) 매 행마다 노파(老妪)가 과일을 던져 수레를 가득 채웠다." 고 하였다..

뜻은 판안(潘安)이 매번 외출하게 되면 항상 많은 여인들 뒤에 따라다니고

다들 서로서로 손을 잡고 그를 에외쌓다고 하며

꽃도 갖다 주고 과일도 판안(潘安)의 차에 올려주면서

자신의 사랑을 표달했다고 한다.

만약 지금같았으면 정신병으로 상대  할 수 있지만,

이것은 시대의 산물이며, 서진(西晋) 여자가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그가 매번 외출하여 집에 들어오면 수레에 과일을 가득 채워오는데 

'과자영차(掷果盈车)'라는 성어가 여기에서 왔다.

판안(潘安)이 있는 서진(西晋)은 전 국민이 상미(尙美)하는 시대이며,

남색에 대한 욕구가 너무 미쳐 이미 현대를 능가하였다고 한다..

당시의 미남자의 기준은 체구가 크고 입술이 붉으며 이가 하얗다는 것이고

두루마기 차림이지만 대개는 소매가 헐렁헐렁해 시크한 느낌을 준다.

 

판안(潘安)은 정에 있어서 변치 않고 아내 돌아간후 다시는 재혼을 하지 않았다..

그렇게 많은 여자들한테 인기가 있으며

봉건사회에서는 남자들 몇명의 첩이 있는건 당연한 일인데..

이분은 사랑에 대한 충성심은 참으로 대단하였다고 한다..

아내 세상을 떠난후 그는 세 수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 (悼亡诗)》를 창작하였으며 

중국역사상에서 이 삼수 <죽음을 애도하는 시 (悼亡诗)>는 개척의 의의를 가지고 있어,

이로써 그의 재능과 학식도 상당히 출중했음을 알 수 있다.

또 부모에게 효도하기 위해 벼슬을 그만두고 집으로 돌아가기도 했다.

 

그래서 뛰어난 외모와 지극한 효성,

뛰어난 인품과 재성을 지닌 사람을 '중국 고대 최고의 미남자'라고 일컫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두번째 미남은: 송옥(宋玉)

 

전해져 내려오는 말에

<송옥(宋玉)의 재능,판안(潘安)의 용모> 라고 있다.. 

송옥(宋玉)은 여자들이 그를 보면 모두 그에게 반한다고 하며   

용모가 아름답다는 설이 천고에 전해지고 하지만

그가 어떻게 잘 생겼는지 아직은 알려지지 않은 수수께끼이다..

왜냐 하면 지금까지 그림 한 장 남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송옥(宋玉)은 결코 겉만 번지르르한 것이 아니라,

그는 대시인 굴원(屈原)의 제자이며, 대사급 문장가로서,

많은 남버원을 창조하였다고 한다..

그는 첫 번째로 비추(悲秋)를 썼고, 첫 번째로 여성에 대해 썼다.

그의 《신녀부(神女赋)》 중의 신녀는,

선진(先秦)의 여성미 관념을 구현하였고

그의  명품 작품인  '신녀부(神女赋)'와 '고당부(高唐赋)'는

무산(巫山-장강삼협에서 크루즈 타고 내려오면 무산이랑 도시를 경유하게 된다)의

여신(무산신녀(巫山神女)-

장강삼협의 협곡 12봉우리중 가장 아름다운 봉우리--신녀봉을 가르킴)의 미모를

수천 년간 후인들이 탐을 내도록 묘사했다...

그는 지금까지 16편의 작품이 전해져 내려왔으며 그중 <구변(九辩)>은

그의 작품임을 확신하고,

중국 문학사에서는 굴원(屈原)의 《이소(离骚)》에 견줄만하여,

초사(楚辞) 중의 쌍벽이라 할 수 있다.

 

송옥(宋玉)의 생애 대하여 기록된건 별로 많지 않고..

다만 그가 엄청 가난한 가정에서 태여났고..

자기의 발전의 위하여 초나라왕의 신변에서 문학시중으로 일을 하였으며 

초나라왕이 많이 알아줬다고 한다.. 

결국 조정을 떠나 다시 시골로 내려가 아쉬움 가득한 한을 안고 생을 마감합니다.

 

 

세번째 미남은: 혜강(嵇康)

혜강(嵇康)은 자가 숙야(叔夜)이며

초군추현(谯郡锤县)(지금의 안후이성 쑤저우(安徽宿州)) 출신. 

조상의 성은 시(), 우인을 단속할 것이니,

원한을 피해 이곳으로 이주하였고 <죽림칠현(竹林七贤)>의 선두이다.. 

그는 삼국시기의 유명한 시인이고 음악가이며

현학(玄学)의 대표적 인물이다.

 

혜강(嵇康)은 박식하고 재능이 많으며 음악에서도 신동이다..

그는 <금부(琴赋)>에서 : "흔하지 않은  좋은 소리,

길게 여운을 남기는게 익숙해졌고,

흥하고 망하는거에 따라  그기에 대한 감정이 변화되는데 

그의 음악에 대한 감정은 전혀 변화가 없으며 ,

,또 맛이 싫어지는경우도 있지만

이것만은 영원히 싫증나지 않는다" 라고 하였다..

<금의(琴议)>에 기재된 문장은: 혜강(嵇康)이 전에

뚜멍(杜猛)한테 <광릉산(广陵散)>을 배웠고

그는 이 음악을 엄청 사랑했으며 자주 연주하였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은 소문을 듣고 찾아와서 가르침을 부탁했었지만

혜강(嵇康)은 전수하지 않았다...

최후 그는 그당시 권력자였던 사마씨(司马氏)와 원수로 되었고

결국에 목숨을 잃는 재앙을 초래하였다..

사형당하기 직전 3천명의 태학생(太学生)들

그를 위해 사정을 했지만 결국에는 면하지 못했다

혜강(嵇康)이 임종시 <광릉산(广陵散)>곡을 연주하면서

'광릉산(广陵散)'은 이제 끝이다라고 길게 한탄하였다..

사망 당시 나이가 겨우 40세였다... 

그의 외모는 아마 판안(潘安)이나 송옥(宋玉)보다 못하겠지만

그가 몸에 지니고 있는 기질은 오히려 누구과도 비교가 안 되는 것이라고 한다

 

 

네번째 미남: 란릉왕(兰陵王)

<북제(北齐)서주(徐州)란릉군왕(兰陵郡王)

--고장궁(高长恭)>

 

고장궁(高长恭)의 본명은 고숙(高肃)  고효관(高孝瓘)이라고도 하였으며

자는 장공(长恭)이다....그의 아버지 고등(高澄),

할아버지는 고환군(高欢均)이였으며

동위왕조(东魏王朝)선학일(煊赫一)때의 권신이였으며

북제(北齐帝国)제국의 창시자, 중국고대 4대 미남중의 한명이다..

 

란릉왕(兰陵王)은 출정 과정에서 용모가 아름다워

적의 비웃음을 살 때가 많아 고민이었고 

하여 그래서 헬멧을 개조하여 '험상 궂은 얼굴 가면'를 만들었으며

이는 란릉왕(兰陵王) 가면의 유래가 된다..

후세에 많은 란릉왕(兰陵王)의 형상은 가면을 착용한모습으로 나온다..

그는 갑옷을 입고 손에는 검을 쥐고 용맹하게 적을 물리쳤으며

<험상 궂은 얼굴>가면으로 적군들이 공포를 떨게 하였고 

헬멧을 쓴 <마귀>가 여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엄청난 공을 많이 세웠지만 랑릉왕(兰陵王)은

결국에는 꼭 같이 황제의 의심과 살심(杀心)을 당했고 ..

릉왕(兰陵王) 자신도 용퇴할 것을 알고,

조당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고 어떻게 하면 황제의 불신을 피하고

그런 식으로 멀리할 수 있을지에 대해 그는 알지 못했다.

 

결국에 북제(北齐)왕조 무평(武平) 4년(573년)5월,

황제는 사람을 보내 독주 한잔을 랑릉왕(兰陵王)한테 주었고

란릉왕은 독주를 다 마시고 나서 사망하였으며

이로서 북제(北齐)제국의 마지막 황족 명장이 쓰러지고 말았다.. 

수차례 난관에 부닺친 나라를 구한 용맹한 북제의 신과 같은 장군은

끝내 전장에서 전사하지 못하고

가족 내 싸움에 휘말려 북제국(北齐)의 종말이 오기 전

정치적 희생양이 된 것이다.

란릉왕(兰陵王)이 사사된 지 4년 만에

제후주(齐后)는 결국에 자기절로 

자기 팔을 자른 악과(惡果)를 맛보게 되었고 

북제제국은 망하고 말았다

 

정사에서: "만약에 란릉왕(兰陵王)이 죽지 않았으면

북제(北齐)는 그렇게 끝나지 않았을거다,

하지만 결국에 완전 와해 되었으니 너무 아쉽고 안타깝다.." 고 한탄 하였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