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인'에 해당되는 글 2건
- 2021.03.22
- 2021.03.16
중국고대 4대미녀는 누구도 잘 알고 있는 사실..
필경 미인을 좋아하는 마음은 누구한테도 있는듯하고..
미녀가 어디로 가든 항상 눈에 띄기 마련이다..
오늘은 미녀 말고.. 중국 고대 4대 미남.. 누구누구 있을가?
역사책에서 판안(潘安)의 용모에 대해
미자의(美 仪儀)는 사람의 외모와 기품,
기품 등이 뛰어나다고 한다.. <세설신어(世说新语)>의 기재따르면 :
"판안(潘安)은 자태가 아름답고 표정이 은은하여
보는 사람 빠져 들게 하고 어릴때는 락양(洛阳)거리에서 다니면
여자들과 마주칠때면 모두 손을 대며 매달렸다. "고 말했고 "
"안인지미(安仁至美) 매 행마다 노파(老妪)가 과일을 던져 수레를 가득 채웠다." 고 하였다..
뜻은 판안(潘安)이 매번 외출하게 되면 항상 많은 여인들 뒤에 따라다니고
다들 서로서로 손을 잡고 그를 에외쌓다고 하며
꽃도 갖다 주고 과일도 판안(潘安)의 차에 올려주면서
자신의 사랑을 표달했다고 한다.
만약 지금같았으면 정신병으로 상대 할 수 있지만,
이것은 시대의 산물이며, 서진(西晋) 여자가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그가 매번 외출하여 집에 들어오면 수레에 과일을 가득 채워오는데
'과자영차(掷果盈车)'라는 성어가 여기에서 왔다.
판안(潘安)이 있는 서진(西晋)은 전 국민이 상미(尙美)하는 시대이며,
남색에 대한 욕구가 너무 미쳐 이미 현대를 능가하였다고 한다..
당시의 미남자의 기준은 체구가 크고 입술이 붉으며 이가 하얗다는 것이고
두루마기 차림이지만 대개는 소매가 헐렁헐렁해 시크한 느낌을 준다.
판안(潘安)은 정에 있어서 변치 않고 아내 돌아간후 다시는 재혼을 하지 않았다..
그렇게 많은 여자들한테 인기가 있으며
봉건사회에서는 남자들 몇명의 첩이 있는건 당연한 일인데..
이분은 사랑에 대한 충성심은 참으로 대단하였다고 한다..
아내 세상을 떠난후 그는 세 수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 (悼亡诗)》를 창작하였으며
중국역사상에서 이 삼수 <죽음을 애도하는 시 (悼亡诗)>는 개척의 의의를 가지고 있어,
이로써 그의 재능과 학식도 상당히 출중했음을 알 수 있다.
또 부모에게 효도하기 위해 벼슬을 그만두고 집으로 돌아가기도 했다.
그래서 뛰어난 외모와 지극한 효성,
뛰어난 인품과 재성을 지닌 사람을 '중국 고대 최고의 미남자'라고 일컫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전해져 내려오는 말에
<송옥(宋玉)의 재능,판안(潘安)의 용모> 라고 있다..
송옥(宋玉)은 여자들이 그를 보면 모두 그에게 반한다고 하며
용모가 아름답다는 설이 천고에 전해지고 하지만
그가 어떻게 잘 생겼는지 아직은 알려지지 않은 수수께끼이다..
왜냐 하면 지금까지 그림 한 장 남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송옥(宋玉)은 결코 겉만 번지르르한 것이 아니라,
그는 대시인 굴원(屈原)의 제자이며, 대사급 문장가로서,
많은 남버원을 창조하였다고 한다..
그는 첫 번째로 비추(悲秋)를 썼고, 첫 번째로 여성에 대해 썼다.
그의 《신녀부(神女赋)》 중의 신녀는,
선진(先秦)의 여성미 관념을 구현하였고
그의 명품 작품인 '신녀부(神女赋)'와 '고당부(高唐赋)'는
무산(巫山-장강삼협에서 크루즈 타고 내려오면 무산이랑 도시를 경유하게 된다)의
여신(무산신녀(巫山神女)-
장강삼협의 협곡 12봉우리중 가장 아름다운 봉우리--신녀봉을 가르킴)의 미모를
수천 년간 후인들이 탐을 내도록 묘사했다...
그는 지금까지 16편의 작품이 전해져 내려왔으며 그중 <구변(九辩)>은
그의 작품임을 확신하고,
중국 문학사에서는 굴원(屈原)의 《이소(离骚)》에 견줄만하여,
초사(楚辞) 중의 쌍벽이라 할 수 있다.
송옥(宋玉)의 생애 대하여 기록된건 별로 많지 않고..
다만 그가 엄청 가난한 가정에서 태여났고..
자기의 발전의 위하여 초나라왕의 신변에서 문학시중으로 일을 하였으며
초나라왕이 많이 알아줬다고 한다..
결국 조정을 떠나 다시 시골로 내려가 아쉬움 가득한 한을 안고 생을 마감합니다.
혜강(嵇康)은 자가 숙야(叔夜)이며
초군추현(谯郡锤县)(지금의 안후이성 쑤저우(安徽宿州)) 출신.
조상의 성은 시(奚), 우인을 단속할 것이니,
원한을 피해 이곳으로 이주하였고 <죽림칠현(竹林七贤)>의 선두이다..
그는 삼국시기의 유명한 시인이고 음악가이며
현학(玄学)의 대표적 인물이다.
혜강(嵇康)은 박식하고 재능이 많으며 음악에서도 신동이다..
그는 <금부(琴赋)>에서 : "흔하지 않은 좋은 소리,
길게 여운을 남기는게 익숙해졌고,
흥하고 망하는거에 따라 그기에 대한 감정이 변화되는데
그의 음악에 대한 감정은 전혀 변화가 없으며 ,
,또 맛이 싫어지는경우도 있지만
이것만은 영원히 싫증나지 않는다" 라고 하였다..
<금의(琴议)>에 기재된 문장은: 혜강(嵇康)이 전에
뚜멍(杜猛)한테 <광릉산(广陵散)>을 배웠고
그는 이 음악을 엄청 사랑했으며 자주 연주하였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은 소문을 듣고 찾아와서 가르침을 부탁했었지만
혜강(嵇康)은 전수하지 않았다...
최후 그는 그당시 권력자였던 사마씨(司马氏)와 원수로 되었고
결국에 목숨을 잃는 재앙을 초래하였다..
사형당하기 직전 3천명의 태학생(太学生)들
그를 위해 사정을 했지만 결국에는 면하지 못했다
혜강(嵇康)이 임종시 <광릉산(广陵散)>곡을 연주하면서
'광릉산(广陵散)'은 이제 끝이다라고 길게 한탄하였다..
사망 당시 나이가 겨우 40세였다...
그의 외모는 아마 판안(潘安)이나 송옥(宋玉)보다 못하겠지만
그가 몸에 지니고 있는 기질은 오히려 누구과도 비교가 안 되는 것이라고 한다
고장궁(高长恭)의 본명은 고숙(高肃) 고효관(高孝瓘)이라고도 하였으며
자는 장공(长恭)이다....그의 아버지 고등(高澄),
할아버지는 고환군(高欢均)이였으며
동위왕조(东魏王朝)선학일(煊赫一)때의 권신이였으며
북제(北齐帝国)제국의 창시자, 중국고대 4대 미남중의 한명이다..
란릉왕(兰陵王)은 출정 과정에서 용모가 아름다워
적의 비웃음을 살 때가 많아 고민이었고
하여 그래서 헬멧을 개조하여 '험상 궂은 얼굴 가면'를 만들었으며
이는 란릉왕(兰陵王) 가면의 유래가 된다..
후세에 많은 란릉왕(兰陵王)의 형상은 가면을 착용한모습으로 나온다..
그는 갑옷을 입고 손에는 검을 쥐고 용맹하게 적을 물리쳤으며
<험상 궂은 얼굴>가면으로 적군들이 공포를 떨게 하였고
헬멧을 쓴 <마귀>가 여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엄청난 공을 많이 세웠지만 랑릉왕(兰陵王)은
결국에는 꼭 같이 황제의 의심과 살심(杀心)을 당했고 ..
란릉왕(兰陵王) 자신도 용퇴할 것을 알고,
조당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고 어떻게 하면 황제의 불신을 피하고
그런 식으로 멀리할 수 있을지에 대해 그는 알지 못했다.
결국에 북제(北齐)왕조 무평(武平) 4년(573년)5월,
황제는 사람을 보내 독주 한잔을 랑릉왕(兰陵王)한테 주었고
란릉왕은 독주를 다 마시고 나서 사망하였으며
이로서 북제(北齐)제국의 마지막 황족 명장이 쓰러지고 말았다..
수차례 난관에 부닺친 나라를 구한 용맹한 북제의 신과 같은 장군은
끝내 전장에서 전사하지 못하고
가족 내 싸움에 휘말려 북제국(北齐)의 종말이 오기 전
정치적 희생양이 된 것이다.
란릉왕(兰陵王)이 사사된 지 4년 만에
제후주(齐后)는 결국에 자기절로
자기 팔을 자른 악과(惡果)를 맛보게 되었고
북제제국은 망하고 말았다
정사에서: "만약에 란릉왕(兰陵王)이 죽지 않았으면
북제(北齐)는 그렇게 끝나지 않았을거다,
하지만 결국에 완전 와해 되었으니 너무 아쉽고 안타깝다.." 고 한탄 하였다..
가장 약한 한국(韩国)이 무슨 근거로 전국칠웅(战国七雄)이 될수 있었을가? (0) | 2021.03.21 |
---|---|
개봉(开封)에 있는 유대인들은 어떠한 그룹이였을가? 이스라엘은 왜 그들이 정통 유대인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가? (0) | 2021.03.13 |
중국역사상 역사상 개국황제(开国皇帝)들, 나라를 세우고 황제로 될때 나이비교 (0) | 2021.02.25 |
곽거병(霍去病)도대체 얼마나 강했을가요?3년에 흉노를 10만 명 죽였다.. 그의 인생은 2천년기간 어느 누구도 카피 할수 없었다고 한다.. (0) | 2021.02.22 |
<6국을 완전 멸하고>화하(华夏-중국옛명칭)를 최종 통일한 사람은 한무제(汉武帝)이고 진시황은 아니였다.. (0) | 2021.02.21 |
삼국지 얘기 나오면 자연히 관운장, 장비 등 무장들 떠오르게 되고..
확실히 난세속에서 영웅들이 많이 나온다고
멋진 무장들 많이 나오는것 같습니다.
노래에 --강산을 좋아하지만
미녀를 더더욱 사랑한다는 가사가 있듯이..
수많은 영웅이 쏟아져 나오는 삼국시기에
당연히.. 미인도 동반할것입니다.
그럼 삼국지에서 나오는 10대 미인을 알아볼가요?
초선(貂蝉)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중국 고대 4대미인입니다.
<삼국지에서> 초선은 동한말년
사도(司徒)였던 왕윤(王允)의 수양딸이였고
권력을 쥐고 있는 동탁(董卓)의 어이없는 통치를 뒤엎기 위하여
성공적으로 미인계를 이용하여
동탁(董卓)과 여포(吕布) 사이 이간을 시켰습니다
결국에는 동탁(董卓)은 여포(吕布)손에서 목숨을 잃었고
그후로 초선(貂蝉)은 여포(吕布)의 첩으로 되어
여포(吕布)따라 서주(徐州)로 왔습니다.
샤피(下邳)대전후 여포(吕布)는 조조(曹操)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초선(貂蝉)은 여포(吕布)의 가족들과 함께
허창(许昌)으로 갔으며 그후로는 종적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난세속에서는 예쁜 여자는
자기 운명을 자기절로 좌우지 못하고
단지 남자들의 이용수단일뿐인것 같습니다..ㅠㅠ
사람들은 여자가 예쁘게 생겼다고 표현하는데,
흔히 '감월 수치화(闭月羞花之貌)'와
'침어 낙안지용(沉鱼落雁之容)'에 비유하게 되고
여기에서 나오는 <폐월(闭月)>은
중국 고대의 4대 미녀 초선(貂蝉)을 일컫는 말로,
그 아름다움에 달이 부끄러워
구름사이로 숨어버렸다는
“闭月羞花”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초선(貂蝉)이 화원에서 달을 감상하고 있을무렵
바람이 살며서 불어옫더니 구름 한송이가 달을 가렸는데..
마침 이걸 본 왕윤(王允)은 자기 딸이 너무 예뻐
달도 구름속에 감춰버렸다고 선양하였습니다.
견미(甄宓)는 역사책에서 견부인(甄夫人)으로 나오며
군산군(中山郡)의 무극현(无极县)
<오늘 하북성 무극(无极)>사람으로
상채령(上蔡令) 견일(甄逸)의 딸이였습니다...
원소(袁绍)의 차남 원희(袁熙)의 아내였으나
원소(袁绍))가 팬전후
조피(曹丕)가 원소(袁绍)집안에 들어가면서
견미(甄宓)를 보는 순간..
너무 예쁜 미모에 그만 빠지고 말았습니다
조조(曹操)는 조피(曹丕)의 마음을 알아차려
바로 그를 위해 견미(甄宓)를 맞아들였죠.
조피(曹丕) 황제로 된후
산양공(山阳公)류협(刘协)은 자기 딸 둘을
조피(曹丕)한테 후궁비빈으로 받쳤고
이귀인(李贵人)과 음귀인(阴贵人)은 모두
조피(曹丕)의 총애를 받았습니다.
이에 경미(甄宓)는 많이 실망하여 원망스러운 말을 내비췄고
조피(曹丕)는 대노하여 사신을 보내
견미(甄宓)를 사사하고 예성(邺城)에 매장하였다
조피(曹丕)는 병이 심해져 견미(甄宓)의 아들인
평원왕(平原王) 조예(曹叡)를 태자자리에 올렸고
조예(曹叡) 황제로 된후
견미(甄宓)를 문소황후로 시호를 추증하였습니다.
전설에 의하면 조식(曹植) 《낙신부(洛神赋)》의
"낙신"은 바로 자신의 형수 견미(甄宓)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견미(甄宓) 죽은후 조식(曹植)은 견미(甄宓)와 락수(洛水)에서
마주친 정경을 머릿속으로 들춰보며
《감견부(感甄赋)》를 썼다고 합니다.
조예(曹叡)는 즉위 후 8년 만에 어머니 이름을 피하기 위해
《낙신부(洛神赋)》로 바꾸었으며
이 글의 영향으로,
사람들은 조식(曹植)과 견미(甄宓)의 연애 비극에 감동하였고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말로
견미(甄宓)를 낙신으로 인정하였다고합니다.
<그 모양은 놀라 날아오르는 기러기처럼 부드럽고
유연한 것이 마치 용을 헤엄치는 것 같다.
영요추국화무춘송(其形也,翩若惊鸿,婉若游龙。
荣曜秋菊,华茂春松) 구름 한 점 없는 달처럼 떠다니고
바람의 회설처럼.(仿佛兮若轻云之蔽月,
飘飘兮若流风之回雪。),
멀리 바라보니, 태양이 아침 노을에 오르는 것 같고
(远而望之,皎若太阳升朝霞),
불시찰하여 부루퉁한 눈으로 흘겨보다
.(迫而察之,灼若芙蕖出渌波)>
---《낙신부(洛神赋)》
채문희(蔡文姬)는 중국고대 4대 재능있는 여자중 한명이고
이름은 염(琰), 자는 문희(文姬)입니다.
동한왕조시기 여성 문화작가이고 문학가인 채옹(蔡邕)의 딸이였고,
사람됨이 박식하며 음악에도 능통하였다고 합니다.
채문희(蔡文姬)는 평생 세사람한테 시집을 갔으며
첫번째 남편은 위중도(卫仲道)라고 하는 사람인데
남편이 죽은후 다시 집에 돌아왔다고 합니다.
동한왕조 말기에는 중원 대부분 지역이
제후들의 할거로 혼란스러웠고
원래 한나라(汉朝)로 항복했던
<남흉노(南匈奴)>는 그 틈을 타 반란을 일으켰고,
채문희(蔡文姬)는 흉노의 좌현왕(左贤王)에게 사로잡혀
두 아이를 낳았으며
조조(曹操)가 북방을 통일한후
많은 돈을 들여 채문희(蔡文姬)를 데려와서는
동사(董祀)한테 시집보냈습니다.
이 생에 이미 황사를 나누었으니,
누가 황금으로 몸값을 지불하겠는가.
열여덟 번을 지르고 화내지 말라,
박명이 가인임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此生已分老沙尘,谁把黄金赎得身。
十八拍笳休愤切,须知薄命是佳人。)
---《董祀妻蔡琰(동사처채염)》
대교소교(大乔小乔)는 한나라왕조 말기 교공(桥公)의 두 딸이며
큰 딸은 대교(大乔), 작은 딸은 소교(小乔)라고 하며
성이 교(桥)씨이기때문에 그냥 교(乔)로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노강군(庐江郡)완현(皖县)(지금 안휘성 잠산시潜山市) 사람이고
강북에서 유명한 미인이였으며
손책(孙策)이 완현(皖县)을 공략후
대교(大乔)는 손책한테 시집갔고
소교(小乔)는 주유(周瑜)한테 시집갔었죠
손책이 화살에 맞아 큰 상을 입었을때
큰 딸 대교(大乔)가 밤낮으로 옷을 입은대로,
잠도 못 자고, 밥도 먹지 않고,
온 마음을 다해 보살펴줬지만
손책은 여전히 세상을 떠났습니다.
손권이 황제를 칭한 후,
대교(大乔)는 더 이상 속사에 상관하지 않고,
집에만 조용히 있으면서,
옛 청등불처럼 조용하고
평화롭게 천수를 누렸다고 합니다.
소교(小乔)는 언니보다 상황이 좀 낳았고..
주유(周瑜)와 결혼하여
사랑이 듬뿍 담긴 생활을 11년간 이어왔습니다.
주유(周瑜)가 익주(益州)를 공략할무력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소교(小乔)는 노강(庐江)에 아들딸과 조용히 보냈다고 합니다.
서기 223년에 소교(小乔)는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그때 나이가 47세였다고 합니다.
전설에 조조(曹操)가 강남을 노리는 목적이
바로 대교소교(大乔小乔)위해서라고 합니다.
조조는 맹세를 하면서
"첫번째 소원은 세상을 평정하여 황제로 되는거고
두 번째 소원은 강동대교소교(大乔小乔)를 얻기를 바라며,
동작대(铜雀台)에서, 만년을 즐겁게 보내면,
죽더라도 한이 없으리라!"
번부인(樊夫人)는 창산(常山)사람이고
동한왕조 말기에 계양태수(桂阳太守)
조범(赵范)의 형수였습니다.
적벽대전후 조운(赵云)은 유비(刘备)따라
형주사군(荆州四郡)을 평정한후
유비는 조운을 평장군(偏将军)으로 임명하였고
투항한 조범(赵范)을 대신하여
계양태수(桂阳太守)를 겸직하게 하였습니다.
조범(赵范)이 투항후 뛰여난 미모를 가진 과부형수를
조운한테 선사할려구 했지만 조운의 거절을 당했고
그 이유는 <우리 둘이 같은 성씨로
한가족으로 너의 형수면 꼭 같이 나의 형수가 아니냐,,
내가 어떻게 그렇게 할수 있냐> 였습니다.
후에 옆에 사람들도 좋은 일이니..
조운한테 장가가라고 권유하지만
조운의 생각은 조범(赵范)의 투항은 진심이 아니라는걸 알기때문에..
응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강북에는 이교(大乔小乔)가 있으면
허베이에는 더 예쁜 번견(樊甄)이 있으며 .
중원은 풍미인(冯美人)이지만,
그래도 초선(貂蝉)의 미는 가장 뛰어나다>라는
말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손권의 동생 후에 유비한테 시집간 분이고
<삼국지>에서는 손부인으로 나오며
민간연극에서는 손상향(孙尚香)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유비와 손권의 연맹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손부인은 유비한테 시집간지 3년이 되었으며
그는 그때 당시 전통 여자와 달리 강인한 성격을 가졌고
무예도 가능한 강한 여자였습니다.
유비가 촉으로 들어간후
손권은 사람을 보내 자기 동생을 오나라로 데려오게 하는데
손부인은 유선(刘禅)을 같이 데려가려 했다가
다행이 제갈량이 그 낌새를 미리 알아차리고
바로 장군 조운과 장비를 보내여
강변에서 가로 막아 유선(刘禅)을 뺏아왔습니다.
그로부터 손부인은 다시 돌아오지 않았고
그뒤로 손부인의 소식은 올라오지 않았습니다.
삼국시기 역사인물로 오나라 황제 손권의 첩이였고 승
상 보덕(步骘)의 족속이였습니다. .
일찍이 오나라왕 손권한테 시집 가서 두 딸을 낳았으며
바로 전공주(全公主)와 주공주(朱公主)였습니다.
손권이 황제로 된후 부인을 황후 예의대우를 향수하게 하였습니다.
서기 238년 보련사(步练师)는 세상을 떠난후
황후로 추봉후 장릉(蒋陵)에 매장하였고
황제가 첩을 황후로 추봉하는건
손권이 첫 사례였다고 합니다.
보련사(步练师)의 조상은 공문(孔门)72현 중의 보숙승(步叔乘)였고
후손은 진한왕조시기 전투에서 공을 많이 세워
회음후(淮阴侯)로 봉하였으며 바로 방대족(方大族)이였습니다. ..
복련사(步练师)는 천천히 커가면서
뛰여난 미모로 손권한테 첩으로 들어갔고
질투가 없는 복련사(步练师)는
항상 다른 사람을 추천하군 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기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고 합니다.
감부인(甘夫人)《기주부지(夔州府志)》의 작명은 감매(甘梅)이고
삼국시기 유비의 아내였으며
촉한후주인 유선(刘禅)의 친엄마였습니다.
감부인은 가난한 가정에서 태여났고
어릴적에 점을 보는 사람이 감부인의 얼굴을 보고
<얘는 커서 꼭 귀한 사람이 될거고
그 지위가 높아 황궁에 가서 거처할 수 있다 >고 하였습니다.
감부인은 커가면서 얼굴과 체형이 갈수록 특별해지며
18살에 이르러 피부는 백옥과 같고
자태가 예쁘고 사랑스러우며,
용모가 아름답게 변했습니다.
전설에 유비는 밤에 양지옥으로 만든 인물상을
감부인과 비교하는 것을 즐겼다고 합니다.
감부인은 평상 유비를 따라
동분서주하면서 고생을 많이 하엿고
향수를 누리지 못하였으며
적벽대전이후 유비는 겨우 안정되었지만
감부인은 그만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삼국지>기재에서 동한왕조 말기에 장제(张济)의 아내였고
장수(张绣)의 숙모였으며
<삼국연의>에서 성이 추(邹)씨로 나와
추부인(邹夫人)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삼국연의에서 16회 되는곳에 출연하게 되고
조조강제로 첩으로 삼았으며
이에 격분한 장수(张绣)가 분노하여 반란을 일으켰죠..
조조병은 완성(宛城)에서 패전하고
조앙(曹昂), 전위(典韦), 조안민(曹安民) 등
전사하는 등 많은 일들이 발생되었죠..
하루 조조가 술에 취해서 옆에 사람들한테
<성중에 기생이 있느냐?>라고 물었고
조안민(曹安民)는 조조의 뜻을 알아차리고 조용히
<어젯밤 제가 관사의 옆을 살펴보니,
한 부인이 있었는데,
매우 아름워서 물어봤는데
바로 장수(张济)의 아내라고 합니다.>라고 알려줬습니다.
조조는 추부인(邹夫人)을 보고
대번에 반해버렸다고 합니다.
조조는 <오늘 부인을 만나 뵙게 되어 정말 천만다행입니다,
오늘 밤은 같이 베개를 베고,
나와 함께 도읍으로 돌아가,
부귀를 누리는 것이 어떻겠느냐?>라고 하니
추부인은 감사하다고 표하였고.. 그
때부터 조조는 매일 추부인과 어울로
향을 누리면서 돌아갈 생각도 안했다고 합니다.
삼국지에서 키가 9척이나 된다는 관운장의 키,, 지금의 어느정도 키가 될가.. 새로 출토된 한나라시기 자(尺)에서 답안이 나왔다고 한다 (0) | 2021.03.26 |
---|---|
삼국지에서 장비는 서주(徐州)를 잃었고 관운장은 형주(荆州)를 잃었으며 마속(马谡)은 제팅(街亭)을 잃었으며 그중 누가 촉나라를 가장 비참하게 만들었는가? (0) | 2021.03.20 |
삼국지에서유비의 여섯 번의 큰 울음은 가식일까, 아니면 진짜 쓰라린 걸까. (0) | 2021.03.02 |
삼국지에서 관도전(官渡之战)은 사실 결코 관건이 되지 않는데, 이것이 원씨 집단이 멸망한 진짜 원인이다. (0) | 2021.02.23 |
삼국지에서 <형주荆州>는 어디에 있는곳일가요? 왜서 삼국간 쟁점이 되었을가요? (0) | 202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