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분류 전체보기 (104)
중국스토리 (54)
자유게시판 (4)
백두산여행 (26)
다른지역여행 (18)
백두산맛집 (1)
다른지역맛집 (0)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ARCHIVE



현대 사회의 유명 인사들 중에, "유모"라고 부르는 명사가 있으며

유모는 말 그대로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여자였다..

친엄마는 모유가 부족할수 있기때문에

이러한 유모는 아이한테 수유하여 키우는 책임을 담당하게 된다..

 

<예기(礼记)>책에 기재에 의하면

<사부의 아들에게는 식모가 있다.(士夫之子有食母)>라는 말이 있으며

유모의 작업은 현대사회에 보이지 않고 고대사화에 많이 보게 된다..

 

아시다시피, 모유는 가장 영양가 있는 존재일뿐만 아니라

수유하는 과정에서 엄마와 아이사이의 감정을 키워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그럼 고대 벼슬아치집안에서는 많은 여자들 모유가 있으면서도 자기 자식한테 먹일지 않고

유모가 대신해줄가? 설마 가문에 속사정이 따로 있단 말인가?

 

 

관련 역사자료를 참고로 하면 우리는 권세가들

유모에게 수유를 해달라고 부탁한 것이 무슨 괴벽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세가지 이유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모유량이 부족하다..

봉건사회에서는 남존여비(男尊女卑)의 사회이기때문이

여자들 어린나이에 시집을 가게 되며 

이것은 당시의 사람들의 수명과 비교적 큰 관계가 있고

고대사람들의 평균수명은 30살에서 40살밖에 안되었다..

60살까지 사는 사람들은 장수로..흔치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여자들은 14살이면 시집을 가게 되고

의료위생조건이 낙후한 그 시대에서는

그들 자신몸자체가 아직 발육이 안된 상태였기때문에

어린나이에 아기를 낳고 난 뒤 젖이 턱없이 부족했다.

 

당시에는 아직 선진적인 '유축기(催奶器

유축사(催奶师)'가 없었기때문에 

어린 여자애들 애를 낳고 나면 몸이 많이 허약하고

애기를 수유할수 있는 기운이 없게 되었다..

 

애한테 건강하게 자랄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돈있는 권세자들은 모유량이 충족한 유모를 모셔오게 된다..

유모는 모유량이 많아서 바로 초빙되는것도 아니고

그에 따르는 높은 조건들 붙는다..

바로 이미지가 좋아야 하고 기질이 좋아야 하며

신체가 건강해야 하고 문화가 없어야 한다..

 

예를 들어 청나라왕조의 마지막 황제 <푸이>의 생모

쑤완과얼쟈유란(苏完瓜尔佳幼兰)은 <푸이>를 낳고난후로 볼수가 없었다..

하나는 그의 몸이 많이 허약하기때문에 모유량도 많이 부족하였고.. 

애한테 수유할수 있는 경험도 없을뿐만 아니라

서태후가 일부러 그와 <푸이>사이의 관계를 끊어놓았고

<푸이>한테 따로 유모 왕씨를 청해왔다..

 

글자하나도 모르는 왕씨집안은 엄청 간난했고

생계를 위하여 금방 낳은 딸과 갈라져 

왕궁에 들어와서 <푸이>를 젖을 먹여 키웠다..

왕씨는 얼굴이 예쁘고 가정배경이 깨끗하며

농촌에서 태여나서 자란 그는 풍부한 양자경험을 갖고 있으며

황족(皇族)이 <푸이>를 장악하는데 위협요소가 전혀 없다..

 

키우는 은혜는 하늘보다 크다고들 하는데,

많은 사람이 천성적으로 장난이심한  작은 <푸이>한테

어쩔바를 몰라하는데   왕 씨는 작은 부의에게 쉽게 길들일 수 있었다

 

장맹의 도(庄孟之道)로 <푸이>를 교육하는 고문화학사보다는

이 여자는 가장 소박하고 꾸밈없는 교육방식으로

<푸이>의 성장과 함께 부의의 생명에서 중요한 스승 중 한 명이 되었다.

 

"한 자 세 치, 십여 년 공(一尺三寸婴,十又八载功)."

왕씨의 모유기간은 이미 끝나 고향으로 돌아가야 하고 

<푸이>는  끊임없이 울고불고 했고 <푸이> 인생에서

왕씨의 분량은 그의 생모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는 위만 황제가 된 후 왕씨를 곁에 두고 섬겼다..

그는 좋은 황제는 아니지만 좋은 아들이였고.. 

유모의 지위는 봉건사회에서 만만치 않은 것이다.

 

두번째는 총애를 다투기 위해서다..

 

엄마는 아들로 인하여 귀해진다고

돈있는 권세자들 집안의 여자들한테 애가 엄청 중요하다.. 

애를 낳은후 몸이 엄청 허약하고 산후조리하는데

약 10일에서 15일정도 소요되며 

모유량이 부족할뿐만 아니라

몸을 조리하는데도 시간이 많이 들어간다..

 

아이가 밤새도록 기저귀를 갈거나 하는 등

경험이 없는 새내기 엄마는 경험도 없고 할 시간도 없으며

아이를 기르는 일은 전문적인 유모에게 맡기면

시간도 절약하고 건강을 빨리 회복할 수 있다.

 

남존여비(男尊女卑)사회에서 왕궁이나 왕족 가족들의 여자들

아이를 낳고 빠른 시일로 용모나 몸매를 회복하지 않으면

다른 여자들한테 밀릴수도 있고

냉궁(冷宫-후비가 총애를 잃어 유페된 궁 )에까지 들어갈수도 있다.

다들 알다싶이 그때 당시 왕궁, 권세가족들은

모두 삼처사첩(三妻四妾)을 갖고 있으며 

관저의 관원들의 총애를 받는 것은

부중에서 입각한 가장 중요한 일이다.

만약에 애를 수유하면서 몸매가 망가지거나

얼굴이 초최해지면 금방 황제나 관원들이 멀리하게 될것이고..

이는 자신의 앞날을 막는것과 마찬가지다..

 

영예의 총애를 받으려고 분분히 노력하지만,

잎이 빠진 담비는 오직 당신밖에 없다

(求荣争宠任纷纷,脱叶金貂只有君)는 말로

궁중의 많은 황비가 애를 낳은 직후에

바로 고운 얼굴을 회복하여

시침하는 것은 앞날이 아무 걱정이 없는것이다. 

 

북제왕조(北齐)의 황후 뢰소군(娄昭君)은

황제한테 여섯아들을 낳았고 

의료기술이 발달하지 못한 그 시기

이 황후는 아들을 낳은후 얼굴혈색이 엄청 좋았다..

애들의 양육문제를 걱정안해도 되기때문에

애를 낳고 산후조리기간에 가장 좋은 보양식품을 복용하였고..

이러한 보양식은 일반집에서는 평생가도 못보는 영양품들이다.. 

 

관료들의 집안은 왕궁의 축소판이고

여자들의 암투는 항상 온 집안으로 가득 찼으며 

모유량이 충분하지 않거나 간에,

이 여자들은 아이를 양육할 충분한 시간과 정력이 없으며

그들한테 필요되는 가장 중요한 일은

애를 낳고 나서 바로 정력 및 미모가 회복되어 

계속 총애를 받아야 하고

계속해서 애를 낳아야

본인이 가정에서 자리를 국건히 지킬수 있는것이다. 

 

총애가 없어지면 하인앞에서도 사람대접을 못받을수 있다..

그때 당시 여자들은 독립적인 직업이면 온정한 수입이 없고 

모든것은 모두 집안의 가장인 남자한테만 의탁해야 하는것이다. 

 

자신의 씀씀이는 집안 남자의 희로애락과 연관되고,

여자의 중점은 바로 남자의 환심을 사는 것이며

아들을 먹여주는 일은 유모한테 전문으로 맡기게 되면

본인한테 많은 시간들이 생기게 되며

이시간으로 본인을 하루 빨리 예쁘게 꾸며서

집안 남자의 환심을 사야 한다. 

 

여자는 애기를 낳은후 남자는 자식을 아끼는 시각에 

애기를 낳은 여자한테 연속 며칠동안 머물수도 있는데..

여자들은 이 시기를 그냥 헛되지 보내버리면 너무 아깝다.. 

고기와 곰발바닥을 동시에 가질수는 없다는 말

(鱼和熊掌不可兼得)이 바로 이 뜻이라고 한다

 

세번째는 통일로<수유>

관료집안에서 유모를 청하여 애를 먹이고 키우는거는

그 집안 신분의 상징이라고 한다..

'근주(近朱)는 붉고, 근묵(近墨)은 검다'는 말이 있다.

그들은 자기 집안의 아이가 가족의 통일된 계획 하에

건강하게 자랄 수 있기를 더욱 희망하며 

하나는 아이의 영양이 충분함을 보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가족 문화를 전달하는 것이다.

통합된 관리 패러다임이

가족 내부의 다양한 고민을 덜어준다고 한다..

요즘 중국내 남방지역 잘사는 부자집안에서도

이런형식으로 자식들을 키우고 있다..

 

명문가족들은 아이가

생모와 너무 많이 접촉하는걸 희망하지 않으며

이는 가족간에 끝없는 모순이 생기는걸 방지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만약에 모순이 아이한테 옮겨지거나 하면

가족의 모순이 새세대한테로 옮긴다고 생각하고

이는 가족화목에 불리하다고 생각한다.. 

 

어우원(欧文)은 이렇게 얘기했다..

"사람을 교육하는 것은 바로 사람의 성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

만약에 아이가 생모와 너무 붙어 있으면

많든 적든 나쁜 습관에 물들 수 있다..

유모는 가족의 통일된 훈련을 받았고

그들은 애를 먹여주고 키워주는 일뿐만 아니라

아이한테 기초적인 유도와 교육을 받게 된다..

 

이러한 계몽 사상은 아이의 성장에 중요한 유도 작용을 하며 

가족의 의도에 따라, 이 유모들은 선생님의 직책을 맡고 있어서,

생모가 아이에게 다른 꿍꿍이를 가지고

인도하는 것을  크게 차단하였다.

유모의 '집단교육'이 더 인심을 얻는 것도 가족들의 양육 관행이다.

 

양가네 장군(杨家将)집안의 칠랑팔호(七郎八虎)가

바로 가장 좋은 본보기이다. 

사람들은 양 씨 가족의 단결을 감개무량해할 때,

그들의 교육 모델을 생각해야 하며 

이 양가 후손들은 통일된 애국보국사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사상은 결코 일조일석에 전수되어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그들은 태여나서부터 유모가 양가집안의

증조할아버지의 지시에 따라

집안 자녀들한테 충심 애국사상을 전수시켜지며..

이는 귀에 익숙할정도이고 그래서 그들한테 정확한 삼관이 형성되었다..

방계(方系)가 많은 양가(楊家)의 친족(親族)이

내분(內讧)이 없는 이유다고 한다..

 

명나라왕조시기에 성이 객()인 유모가 있었고

그가 18살 되된해에 명나라왕조의 태자 주유교(朱由校)의 유모로 되었다..

그는 본인의 우아하고 예쁜 자태로

다 자란 주유교(朱由校)를 꼬셨고 

환관과 결탁하여 국정에 간섭하였으며

그녀는 명나라왕조시기

유일한 유모신분으로 관리자리에 앉은 여자이다..

 

이러한 유모는 극히 적었고 .. 이들의 결말은 처첨하였고..

객()씨는 주유교(朱由校) 죽은후

새로 부임한 황제에 의해 처형당함으로써 방탕한 일생을 마감했다.

 

삼육구 등의 봉건사회에서 빈곤한 집안의 여자들은

자신의 유수(奶水) 팔아서 아이의 생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던

어쩔 수 없이 봉건사회의 병적인 수요를 반영하고 있다.

 

 

밑바닥에서 허덕이는 여자들은 권력자의 제물이 되었고

"어제 입성한 뒤 돌아오니 눈물이 그렁그렁합니다.

비단 누에를 키우는 사람이 아니다"고 말한 게 그렇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