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분류 전체보기 (104)
중국스토리 (54)
자유게시판 (4)
백두산여행 (26)
다른지역여행 (18)
백두산맛집 (1)
다른지역맛집 (0)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ARCHIVE



청나라 시기의 서적인 <청피뢰초清稗类钞>에는 증국번<曾国藩>이 고추를 먹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증국번<曾国藩>은 량강총독직을 임하였고 

어떤 부하 관리가 증국번<曾国藩>에게 알랑거리려고

증국번<曾国藩>의 취사원한테  몰래 뇌물을 주려고 하였다..

취사원은 있을거 다 있는데 특별히 고심하지 말고 

매 요리 오르기 전에 나한테 보여주면 된다고 얘기해줬다..

 

좀 지난후 제비둥지죽 한그릇을 가져와 취사원한테 보여줬고 .

취사원은 아무말 없이 대나무로 만든 용기를 꺼내 죽에 마구 뿌렸다.. 

 

그 관리는 놀라서 뭐하는 거냐고 묻는다.. 

취사원은 이건 고추가루인데 어르신이 식사때 고추가 필수라고 얘기해준다.. 

관리는 이에 놀랐고.. 자기 생각으로는 높은 자리에 있는 증국번<曾国藩> 

건강을 위해서라도 음식에 엄청 신경을 써서 드실거며 

 매운것은 안드시는걸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 시절에는 매운 음식을 먹는 것이 가난한 사람의 전유물이었고 청렴을 대표했다고 한다..

01  고추는 수입품이다..

다들 알다싶이 고추는 멕시코가 원산지였고 일찍이 콜롬비아함대들이 유럽으로 돌아가면서..

소규모범위내에 전파되기 시작하였고 그후로 원양모역함대가 중국동남연해지역에 머물었었다..

 

담백한걸 좋아하는 해안지역의 주민들은 이 이상한 물건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항저우의 희곡가 고렴(高濂)의 글을 통해

이 특이한 식물은 "파프리카가 무성하게 자라고 흰 꽃이 피어나며

과일이 대머리 같고 맛은 매콤하고 붉은 빛깔로 매우 볼 만하다"고 최초로 기록되였다..

하여 금방 중국에 들어온 고추는 아직 사람들의 밥상에 오르지 못하였고.. 

그냥    감상용으로 키워서 강남원림지역의 귀한 화초로 받들렸다.. 

고추는 구경만 한 지 100년이 지나서야

청나라시기 강희황제때  돼서 '소금 못 먹는' 구이저우(貴州)인에 의해 식탁에 올랐다.

 

그때 시기 귀주성의 교통이 막혀 있어 남방지역중 소금이 가장 부족하 곳이고..

귀주 자체는 소금 생산이 안되고 외부의 소금을 운반하지 못한다..

그러나 소금은 인체 체액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물질로

오랫동안 소금을 먹지 않고는 생활할 수 없다.

구이저우(貴州)인들이 일상용 소금 대신

소량의 염분과 전해질을 함유한 고추를 양념으로 먹기 시작하면서

고추는 점차적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하였다..

02 중국에서 가장 일찍이 맵게 먹는 곳

 

중국인들이 고추를 먹은 역사는 약 400년 정도지만,

고추가 식탁에 오르기 전

이 혀끝의 매콤한 쾌감을 경험했던

지혜로운 조상들은 그때만 해도  (辣)라고 부르지 않았다고 한다

 

진시황시기 민간에서 알려진 오미(五味)에는 <산(酸),감(甜),고(苦),신(辛),짠(咸)>이 있었고

고추가 출현하기전에  사람들은 매운맛을 겸험했었다.. 

 

진시황시기부터 명나라, 청나라시기까지.. 매운맛을 내는 조미료로는 

산수유, 산초, 생강이 대표적인 삼향(三香) 이였다.. 

 

<산수유(茱萸)>

1972년 호남성장사시 무왕무덤에 출토된 비단에 그려진 산수유 그림

 고대사람들은 산수유를 도자기 그릇 및 비단에 그려넣었다..

그러므로 산수유는 일찍이 조미료로 이용되었다는걸 확인된다.. 

 

고추가 나오기 전 산수유는 중국인들의 뇌리에 '매운' 기억으로 남아 있었다.

사람들은 산수유에 대해 낯설지 않다..

당나라 시인 왕웨이(王維)는 '구월구일회산동형제회(九月九日忆山東형제회)'에서

"형제가 높은 곳에 올라 산수유나무에 한 사람이라도 빠지지 않았음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곳의 산수유는 옛사람인 중양절(重陽節)에 산에 올랐던

'수유나무 주머니'로 산수유에서 나는 향긋한 냄새 때문에

벌레를 제거하고 곰팡이를 예방할 수 있었다.

동시에 사람들은 산수유로 식품의 비린내를 제거해주고

식품의 향을 더해준다고 합니다. 

 

당나라 시인 이신작의   <국화벽악주, 국은 산수유로 향을 낸다>시구에서.. 

사람들 중양절에 국화주를 즐겨마실뿐만아니라

산수유를 면에 뿌려 매운맛을 더해 먹는걸 좋아한다고 한다.. 

 

산수유는 희온희습(喜溫喜湿)으로,

중국 대부분 지역이 모두 생장하는 낙토이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재배된다.

 

산초(花椒)

花椒

삼향(三香)의 으뜸으로 꼽히는 산수유의 친구

산초는 춘추전국시대에도 왕성하게 역사무대에 등장하였다.. 

<시경诗经>에서 "초가 잡담하는 실실은 번성하니, 그 아들은 친구가 없을 만큼 크다

(椒聊之实,蕃衍盈升,彼其之子,硕大无朋)."

여기서 "椒聊" 가 바로 산초이다.. 

산초에는 씨가 많기때문에 고대에는 대자대복(多子多福)의 의미로 전해져 내려와

사람들은 산초를 사랑의 증정물로 남녀에서 선물로 주군 하였다.. 

 

오랜 역사로부터 사천성은 줄곧 중국 유명한 산초 산지였고 

 산초에도 촉교(蜀椒),파교(巴椒),천교(川椒)란 다양한 이름이 있으며.. 

고대로부터  사천 사람 집에는 대나무를 심지 않으면 산초를 심었다..

오늘날까지도 사천 사람들의 식단에서 산초의 신마(辛麻)는

여전히 많은 식객들이 목숨처럼 즐기는 미각 체험이다.

 

생강(生姜)

생강이 탄생할 당시에도 악귀를 쫓는데 사용되었지만,

후에 사람들은 점차 그것의 다른 효능을 발견하게 되었다.

생강은 매운맛을 내고 성질이 따스하여 한寒을 제거해주는 효력을 갖고 있다.. 

진나라시기 매운맛을 즐기는 사람들은 밥 먹기전에 꼭 생강 두쪼각을 입에 넣고 씹는다고 한다

공자가 바로 그중에 한분이였고 . 

그때 분들은 밥 먹을때 생강을 먹지 않으면 밥 맛이 없다는 설이 있다.. 

 

후추(胡椒)

 

전통의 삼향(三香)외

고대 잘사는 사람들은 후추등 식물속에서 매운맛을 섭취하는걸 좋아했다고 한다..

후추의 원산지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지역이였고..

실크로드를 통하여 중국에 들어왔다..

진()나라 시기 후추는 광범위하게 수입하게 되었고 

서진(西晋)시기 장화(张华)의 <박물지博物志>에는 

후추로 술을 담그는 방법을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후추술만드는 방법:

좋은 술 5리트, 생강 50그람, 후추70알정도, 마지막으로 좋은 석류 5개정도,

반드시 책략을 수집하여 중상모략하다>

 

그 시기 후추 수입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가격이 엄청 비쌌고..

당나라시기에 와서 후추는 황금값과 비슷하여..

관리들의 년봉으로 후추로 대신 주기도 했다고 한다..

 

고추가 나타나서부터..

중국사람들은 기존에서 섭취했던 매운만 원료가 더는 인기가 없었다..

 

생강, 후추, 산수유는 더 이상 귀중품이 아니고

그냥 백성들도 먹을수 있는 일상 조미료로 되었고..

유독 산초만이 아직까지도 사천사람들의  식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왜 중국인들의 매운 입맛은 빠르게 변했을까.?

 

원인은 매운 음식을 먹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매운맛을 좋아하게 되면 입안의 '화끈거림'이 주는 쾌감 때문이다.

이는 심박수가 빨라지고 침과 땀 분비가 빨라지며

장내 꿈틀거림이 빨라지고 강한 자극으로 인한 흥분감으로

뇌에서 엔도르핀이 방출되며 아드레날린과 같은 도파민 농도가 높아져

짧은 시간 안에 쾌적한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 캡사이신이라는 물질 덕분이다.

 

고추속에 함유된 <캡사이신>은 조상으로부터 내려온 삼향三香 보다 훨씬 많으며

식탁에 오른후부터 급속히 시장을 점율하였다.. 

 

중국인의 매운 음식에 관한 연기, 이렇게 전개된다.

 

03 중국 맵게 먹는 곳 지도

매운 걸 안 먹는 게 '사회병'이라고 한다.. 

식습관 조사에 따르면 다양한 입맛중에 매운맛을

즐겨먹는 사람들 더 많으며 40.5%를 차지한다고 한다

 

47.28%되는 사람들은 매일 한끼는 꼭 매운음식을  섭취하며 

23% 되는 사람들은 이틀중 하루는 매운음식을 섭취한다고 한다하지만

매운맛의 해석은 지역마다 다르다.

 

part1: 사천,중경지역: 후(糊), 마라(麻辣)

 

"또 훠궈를 먹지뭐, 토끼도 좋고 又吃火锅噻,吃兔儿嘛"

 

성도(成都)의 훠궈, 마라토끼머리(麻辣兔头)는 사천사람들 모임에서

우선으로 꼽는 메뉴이고이곳 사람들 매년 2~3억마리정도 토끼를 먹는다고 하고,,

매사람 매년 한근정도의 산초를 먹으며.. 

청두사람들 매5끼밥상중서 한끼는 훠궈가 들어갈정도라고 합니다. 

 

ㅎㅎ.. 저도 청두에서 15년정도 생활해서 . 청두사람들의 훠궈사랑은 잘 알죠..

친구랑 훠궈먹으면.. 훠궈자체가 매운데.. 훠궈탕에 익힌 식재료를

산초가루가 듬뿍 담긴 고추가루에 한번 더 발라서 먹는데

처음에 놀라웠고..저도 적응하여 그렇게 먹어봤는데

턱이 마비될정도로 맵긴 하지만..엄청 고소한 매운맛이 더 끌리였다.. 

쓰촨은 중국 남서내륙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칭짱고원, 횡단산맥, 윈구이(운남귀주)고원,

친바산지(秦巴山地), 쓰촨분지의 몇 가지 지형 단원을 가로지른다.

 

복잡한 지형과 서로 다른 계절풍 환류의 교체 영향 때문에, 사천 기후는 복잡하고 다양하며.

 

여름철 태평양에서 오는 동남계 계절풍은 끊임없이 수증기를

주욱 내륙지방으로 실어 날라 사천분지 서부의 횡단산맥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다.

동남계절풍외에 사천분지는 서남지역에 위치하였기때문에

인도양서남계절풍으로 날아오는 수중기 영양도 좀 받고 있다.. 

사천분지의 서남쪽에 위치한 세계지붕으로 불리는 청장고원때문에 

수중기는 서남쪽 청장고원을 못넘어가는 원인으로 

사천분지는 항상 흐린날이 많고 비가 많이 내리며 안개가 많다..

하여 사람의 몸에는 습기가 가득 차 있으며 매운맛으로.. 체내의 습기를 배제해줘야 한다..

 

하지만 '한 가지 반찬은 무조건 백가지'라는 쓰촨요리의 전통으로

사천의 매운맛은 분류를 따라서  다양하고 풍부한 매운맛을 갖고 있다..

 

서로 다른 개성의 고추가 사천 사람들의 손에서 다양한 매운맛을 만들어낸다..

칠선교(七星椒)의  신선한 매운맛으로 사천사람들 무침요리의 최고 궁합이고 

생선무침의 짭짤한 맛이나 가루묵(凉粉)의 매콤하고 시원한 묵의 향이 침 분비를 촉진한다.

신선한 싸리(二荆条)는  맵고 개운하며 달콤하며 기름진 음식에 향긋한 풍미를 선사하고

二荆条로 만든 김치는 시큼하고 매콤하며 뒷맛이 은은하다.

 

마른 고추는 농축한 매운맛으로 많은 요리에서 없어서는 안될 조미료이다.. 

궁보계정(宫保鸡丁)의 얼큰한 여지의 단맛이나,

매운 닭(辣子鸡)의 고소한 맛에서도 마른고추가 주요역할을 해준다.. 

 

요컨대, 쓰촨 사람들은 "만물은 매워도 좋다"는 신조를 받들어

붉은 기름 아이스크림에서부터 샤브샤브 바탕의 케이크까지,

이 불타는 땅에서  화끈한 매운맛을 즐긴다..

 

충칭은 쓰촨(四川)에 비해 마라(麻辣 )에만 집중하고

매운맛의 대도시에서 외국에서 들어온 고추와 토종 산초는 최고 짝꿍이 되었다.. 

아침 .. 충칭 사람들은 출근전 삐좁은 식당에 앉아서

<완두소면豌豆小面>으로 하루를 시작하는게 일상이고 

점심과 저녁은 들끓는 소고기기름탕속에 빠지거나 전통의 <수팔각水八块>에서부터 

선지훠궈에서. 구수치킨(口水鸡-충칭 전통요리) 및 수주육(水煮肉片)까지..

하여간 물과 관련된 먹거리를 즐기는 충칭인..

이러한 턱까지 마비될 정도록 얼큰한 요리는 

습기가 가득한 충칭기후에 가장 댕기는 음식들이다.. 

 

한국에서 오신 손님을 모시고 충칭의 대려당광장을 구경하면서..

한 구멍가게에 3살되는 여자애기

고추가 듬뿍 담긴 라즈지<辣子鸡> 먹는걸 보고 엄청 놀라신다.. ㅎㅎ

여기서는 마(麻)나 매움은(辣) 가장 순수한 것이 아니고 

사천중경가문의 전통을 이어받아 맵고 얼얼하게, 

매운맛과 산초마라맛이 얽혀있는  풍부한 매운맛에 향이 묻어있는게

사천중경지역의 진정한 매운맛이다. 

 

part2: 귀주의 매운맛 천변만화

사천이웃인 귀주성.. 귀주성사람들한테 매운맛이 더더욱 중요하다..

 

과거에는 소금이 부족하여 고추 먹는걸로 염분섭취를 보충하는데.. 

수백년 지난 현재.. 소금은 일상에서 쉽게 먹을수 있을정도로 부족하지 않지만..

오늘날 귀주사람들의 밥상에는 아직도 고추가 없으면 안된다. 

 

귀주에서 매운맛은 또 진한매움, 고소하게 맵고, 시고매운맛등으로 

여러 층위로, 다른 변화의 매운맛으로 세분화되었다.. 

 

마른고추, 다진마늘, 식염을 넣고 만든 소스를 닭고기에 발라 버무린후.. 

센불로 볶아내면 재료 자체가 진하고 매운 맛을 낼 수 있어.. 엄청 고소하고 맛있다.. 

 

마른고추를 부셔서 간장에 넣으면 고추자체의 고소한 냄새가 코로 들어온다..

준이(遵义)지역의 민간에서는 초롱고추를 즐겨먹는다..

고추를 쪼아서는 찹살가루, 막걸리, 소금등을 넣어

용기에 밀봉해서 며칠동안 보관해뒀다  맵고 얼큰한 고추 뒤집기(倒扣辣椒).를 먹을수 있다.. 

 

하지만 속담에 <3일내 신음식을 먹지 않으면 휘청거리면 걷게 된다>는 말이 있고..

귀주의 매운만에 신맛이 빠지만 영혼이 없는거랑 같다고 한다. 

 

따라서 구이저우 사람들이 매운 음식을 즐기는 과정에서는,

시큼함이 시종 중요한 몫을 차지하였으며,

시큼한 국물이 늘 귀주요리의 중요한 메뉴이다.. 

시큼한 국물의 종류는 많으며 대체적으로 흰국물과 붉은국물 두가지로 나누며

어떠한 시큼한 국물이든지.. 고추가 빠지만 안된다..

하지만 귀주의 신맛의 정수라면,

필연코 "잔수蘸水-물에 담그는것" 것이다.

사천과 중경의 매운맛은 음식을 만드는 조리법이라면 모든 것이 매운반면

귀주는 시큼한 국물이 포인트이다. 

 

귀주사람들한테 <잔수蘸水>는 엄청 중요하고

모든 요리의 맛을 내는데  <잔수蘸水>가 없으면 안된다

 

두화잔수(豆花蘸水), 쏘와와잔수(丝娃娃蘸水), 생선훠궈잔수(鱼火锅蘸水),

루궈향(卤锅香), 꼬치훠궈잔수(串串香蘸水)등등

혹은 고추기름으로 향을 더해주거나 산초로 비린내를 제거해주는 등등 조리법이 있다.. 

 

물론 <잔수蘸水>로 주식에 비벼 먹기도 하는데  밥 세 냥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전세계에 매운 음식으로 유명한 곳은 사천이나

중경이 아니고 귀주의 <로깐마老干妈>하나로.. 충분하였다.. 

 

part3: 호남의 매운맛, 순수한 매운맛

호남성사람들 매운음식을 먹는데는 다른 지역에 뒤지지 않은다..

호남성 사람들 먹는 매운맛은 간단하고 거칠며..

요리에서 첫번째 절차로 부글부글 끓는 빨간고추기름을 한스푼을 넣는다..

다들 사천사람들은 매운맛을 무서워 안하고 귀주사람들은 매워도 무섭지 않으며

호남성 사람들은 맵지 않을가봐 무섭다고 한다..

이와 같이 호남성사람들 매운음식을 먹는데는 이렇게 순수하다.. 

이는 고추가 호남에 오래 머문 것과 관련이 있는지도 모른다

 

왜냐 하면 고추가 먼저 중국에 들어와 발을 붙힌곳이, 바로 호남성이다..

건융황제시기 <진주부지辰州府志>에 기록에 의하면

<진인(辰人)바로 호남회화怀化인은 고추로 불리며 후추를 대신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그것을 취한 사람은 다청홍색을 모두 그 껍질에 합하여, 식품을 먹는다.>

하여 매운맛을 즐길 때 호남성 사람들은 구이저우(貴州)·쓰촨(四川)처럼 복잡함이 없다..

 

고추는 그냥 먹는 음식일뿐이고

그걸 갖고 어떠한 용도나 조연으로 정교하게 구분될 필요 없다..

그래서 호남성 사람들은 고추를 먹을때 다양한 분류의 매움(약하매움, 센매움)이 없다..

왜냐 하면 호남 사람은 시도 때도 없이 매운 음식을 먹고

고추가 없다고 해도 냄비 자체가 맵기때문이다..  

 

중국 고추먹는 지도에서 호남성사람들 사천사람한테 뒤지지 않는데.. 

사천의 수주시리즈(水煮)처럼.. 

호남성에서 얼굴이 완전 빨갛게 화끈하게 만드는 <커워이口味>시리즈가 있으며 

커워이뱀(口味蛇),커워이닭(口味鸡), 커워이오리(口味鸭), 커워이거위(口味鹅) 등등 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커워이시리즈(口味) 시리즈에 비하면,,

오히려 뚸죠생선머리(剁椒鱼头)가 더 유명하여..

호남성(湘菜)의 대표요리로 된다.. 

중국 8대요리에서 사천요리는 매움이 영혼이지만.. 

사천요리를 대표하는 요리 <개수배추开水白菜>는 맵지 않고 순한 맛이다.. 

오직 8대요리중 호남성을 대표하는 <둬죠오생선머리剁椒鱼头>는

빨간 고추를 잘게 다져서 생선머리와 함께 찌는데..

색상이나 매운맛은  사람들한테 깊은 인상을 남겨준다..

 

호남의 매운맛은 고소하고 짠맛이 나지만

그 어떤 매운맛도 다진 고추를 빼놓을 수 없다..

다진고추 만드는 방법은:

싱싱한 고추를 주재료로 하여 작은 동그라미를 만들거나

직접 잘게 다져 생강, 소주, 소금, 다진 마늘 등을 곁들여 만든다.

 

호남 사람들은 매가지 요리마다

이 새빨간 소스를 반찬에 부으면 고소하고 매콤한 맛에 식욕을 확~ 당겨준다

 

part4 강서: 조용한 매우맛이야말로.. 진짜 매운맛이다. 

사천성이나 호남, 귀주에 비해서..

강서성의 매운맛에서 유명세는 별로 없어보인다..

 

하지만 매운 맛의 정도를 따지면 사천, 귀주, 호남 등 세 지역과 비교가 안되는것 같지만.

강서성의 매운맛은 일부러 신경쓰지도 않고, 

그냥   항상 그들의 피 속에 매운맛이 흐르고..고추를 떠나지않는다..

 

이전에 강서성의 경덕진에 갔었는데..

생각밖으로 식당의 요리들..맵고 엄청 맛있었요

 

강서성 사람들은 고추를 볶아 먹는걸 엄청 좋아한다.. 

조리방법은 좀 거칠다..  그냥 고추를 두드려 얄편하게 하고

바로 냄비에 넣고 볶으면 된다..

입에 넣으면 낭랑하고 씹을수록 맵고 고소하여.. 엄청 댕긴다고 한다.. 

 

강서 경덕진 지역에서 고추는 볶음외에

찹쌀, 설탕, 소금 등과 함께 잘 섞어서 쪄서

말린 소고기처럼 만든 '고추떡'을 간식으로 만들어 먹는다..

관련 연구원들이 사천,중경 ·호남·귀주·강서·상하이·베이징 등

12개 성·시의 식단을 수집하여 견본으로 삼았고

메뉴의 각 요리에 들어가는 매운 양념(고추, 산초 등 포함)을 상세하게 집계하며

 이들의 요리형식의  매운맛 정도를 수정하여 

이로서 지역별로 메뉴별 매운맛 지수를 산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음식 맛을 매운맛의 세 지역으로 나눈다.: 

양자강중류매운맛먹는 지역--여기에는 강서성서남부가 들어가며

매운맛 지수가 151--25정도 된다.. 

북방 약간매운지역은 중간층매운맛에 속하고 매운맛 지수는 26--5정도 되며

동남연해지역의 매움지수는 17-8정도 된다고 한다.. 

 

또 다른 데이터에 따르면 강서성은 현재 전국 가장 큰 고추 재배 성으로 

연간 백만 톤이 넘는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8곳 유명  고추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매년 가을이 들어서면 강서성의 농촌에서 지붕꼭대기에 빨간고추를 

널어놓는걸 보게 된다.. 

하여 강서성은 매운맛에서 유명하지는 않지만.. 진짜 매운맛을 보여준다고 한다..

 

part5: 다양한 매운맛,, 매운맛을 다양화하게 만든다..

위에서 설명한 매운걸 즐겨먹는 성에 비하면.. 

운남, 광서, 섬서성은 매운것을 먹는데 더 흥미롭다..

 

운귀고원에 위치한 운남은 귀주만큼 맵게 먹지는 않지만.. 

운남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는 버섯종류를 흔하게 먹는데..

고추는 그냥 버섯요리 맛에 다양하게 선택성을 만들뿐이다..

 

매년 6.7월이면 운남지역에 고추가 수확되는 시즌이고 

이때면 다양한 버섯들도 한창 시즌으로.. 맛있는 다양한 버섯요리들 맛보게 된다..

 

운남에서는 우간균(牛肝菌)을 즐겨먹는데 우간균이 독성을 갖고 있으며

고추를 넣어서 볶으면 독성이 없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우간균을 볶을때는 고추가 필수이다.. 

 

귀주가 매운 음식을 먹는 것이 천변만화라면

윈난 사람들은 매운 음식을 먹는 것으로도 은근히 유명하다.

 

망고에 고추 조합은  아마도   운남에서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시큼하고 달고 그기다  매운맛이 더하여.. 식감이 풍부하다..

 

괴상한 매운맛을 즐겨먹는 운남에는 괴상한 고추도 생산된다.. 

운남의 시쏸반나(西双版纳)에는 <쏴쏴라(刷刷辣)>란 고추가 재배된다.. 

<쏴쏴라(刷刷辣)>고추의 매운정도는

사천성의 조천교(朝天椒)매운맛의 30배라고 한다..

아마도 사천이나 귀주사람들도 이 고추에는 뒤로 할지 모른다.. 

 

그밖에도 운남에는 쩌우피고추(皱皮青椒)가 재배된다.. 

이 고추는 일반적으로 보는 매끈한 고추와 좀 다르고..

모양이 꼬불꼬불하고 쭈글쭈글하며..

보기엔 귀엽다.. 근데 엄청 맵다..

고추의 과육이 비교적 얇고, 맑고 향기롭고 따가울정도로 맵다..

전통적으로 맵지 않다고 생각하는 

광동 지역과 광서에  역시 숨겨진 맵게 먹는 지역이 있다..

지리적 환경과 인문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광서성 서북부에 위치한

바이써(百色), 귀이린(桂林),류저우(柳州)  등 지역은

  운남, 사천, 호남과 붙어 있는 원인이 있어

비교적 맵게 먹고 다른 하나는 이 지역은 소수민족이 밀집된 곳으로.. 

음식에 매운맛이 많이 들어간다.. 

로우분(老友粉)、빙양쏸푼(宾阳酸粉)、라수쌀국수(罗秀米粉)、류저우라쓰펀(柳州螺狮粉)、

귀이린쌀국수(桂林米粉) 등에서.. 매운맛을 체감하게 된다..

 

광서사람들 즐겨먹는 체펀(切粉)는

조천교(朝天椒)를 몇쪼각을 넣어 기름에 볶아 소스를 만들어 얹어먹는다

매운맛으로 유명한 곳은 모두 남쪽 지역이고

이는 기후환경이나 인문요서에 의하여 형성되였다.

하지만 북방에서도 매운맛을 좋아한다..

시원시원한 동북사람이나 섬서성의 관중(关中) 등 포함된다.. 

섬서성의 관중(关中) 사람들 면을 먹을때 고추가루와 땅콩가루 및 깻가루를 넣은후..

위에 부글부글 끓는 기름을 얹어서 먹는데

이걸 기름을 부은 매운면(油泼辣子裤带面)이라고 한다.. 

 

 

저는 가장 맵게 먹는 지역은 쓰촨, 충칭, 후난으로 생각합니다.  

이 세개 성 전체 광범위하게.. 거의 모든 사람들 매운걸 먹을 정도이기때문이죠

 

And